반응형

CT영상의 전송 및 저장

 

CT영상의 전송 및 저장

 

목차

1. 영상저장

2.영상저장 매체의 활용 및 구분

 

 

1. 영상저장

검사가 끝난 영상은 CT장치의 저장 영역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별도 저장 장치에 저장하거나 필름 출력을 하게 된다.

최근 대부분의 국내 대학병원에서는 필름 출력보다는 영상 저장 전달장치(PACS: Picture Archivng and Communcation in system)를 활용하여 영상을 저장 및 모니터 출력 영상을 진료에 활용하고 있다. PACS에는 의료영상의 저장 규약인 DICOM( Digital Image Communcation in medicine)은 의료 영상과 부수적인 정보의 전송과 관련된 표준안으로 NEMA(National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의 개발되었으나 DICOM 표준 위원회에 의해 통제되고 있으며, 방사선 영상의학, 심장병학, 병리학 등의 다양한 분야의 의료 영상을 지원한다. 영상 형식으로 전송 및 저장하며, CT 검사 결고 영상뿐만 아니라 MRI, 초음파 등의 모든 의료영상들이 시스템을 통하여 각각의 진료 및 검사 부서에서 이용된다. 영상의 저장은 검사 결과의 판독, 3차원 영상의 구성 등의 목적으로 이루어진다. 저장 영상의 정보는 순수 영상 영역인 DICOM 영상 파일과 환자 성명과 성별, 진료과, 검사명과 검사 시행 사항 등의 정보들이 정리되어 있는 정보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두 영역은 별도의 파일 형식으로 저장된다. 임상에서 영상의 판독과 3차원 영상처리에 이용되는 정보는 압축되지 않은 원시 정보 또는 무 손실 압축은 데이터 압축 방법의 하나로, 압축된 데이터를 다시 복원하였을 때 압축되기 이전의 원래 데이터와 모든 비트가 일치하는 압축 방법, 문장이나 부호 데이터, 수치 데이터 파일 등은 반드시 무손실 압축방법을 사용하여 압축해야 한다. 무손실 압축방법은 일반적으로 파일의 크기를 원래의 40%까지 압축할 수 있다. 이는 높은 수준의 영상정보의 압축은 영상의 변형을 의미하는 양자화 오차 또는 양자화 잡음이 커지게 되어 오진의 확률을 높이기 때문이다. 판독 및 영상처리가 끝난 영상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손실 압축을 적용하기도 한다. 

 

 

2. 영상 저장 매체의 활용 및 구분

영상의 저장 매체는 마그네틱 테이프,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 CD, DVD, HDD 등이 활용되고 있다. 

각각의 저장 매체는 저장 방식, 저장용량, 저장 후 관리 등에서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PACS 황용 이전에는 영상의 편집, 영상의 처리 후에 필름 출력을 하고원 영상 정보는 마그네틱 테이프 또는 광디스크 등에 저장하였다. 현재 PACS 도입 병원에서는 디스크 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데 저장매체의 하나인 하드디스크와 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제어하는 기능이 있는 관리 소프트웨어가 합쳐진 형태로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병렬로 연결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 중 일부를 저장 정보 디스크로 사용해 데이터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디스크 저장장치는 호스트 컴퓨터에 연결되어 하나의 대용량 디스크처럼 사용되기 때문에 안정성의 확보와 높은 속도를 낼 수 있다. 이 방식은 서버에 직접 연결하는 DASD(Dirrect Access Storage Device), SAN(Storage Area Network) 스위치를 활용하여 연결하는 방법,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저장장치는 하드디스크가 병렬로 여러 개가 연결하여 사용하는 레이드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여러 하드디스크들에 동시에 액세스 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저장 속도가 빠르며 데이터의 안정성이 뛰어나다. 영상의 저장 기간에 따라 단기 저장장치, 장기저장장치로 구분하거나 원본 저장과 백업 저장장치로 구분하기도 한다. 장기 저장장치는 전통적으로 MOD jukebox, DLT 등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저장기간에 따라 단기와 장기 저장장치를 구분하던 것을 주 저장장치와 부 저장장치의 개념이 도입되고 있으며 그 매체로는 HDD를 이용하고 있다. 이 공간에 저장되는 영상의 검색은 제한적으로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접근이 허락되며, 영상의 저장기간도 5년 이상의 저장기간을 갖는 PACS와 달리 통상 6개월에서 1년의 저장기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