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촬영과 CT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오늘은 일반촬영 즉 , 엑스레이와 그리고 CT 컴퓨터 단층촬영장치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두 촬영기계 전부 방사선을 이용한 검사라는 것은 동일하지만 촬영 방식과 그리고 크게 다른 점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인 CT는 컴퓨터와 결합하여서 촬영을 한다는 점입니다. 일반 촬영도 물론 DR장비는 컴퓨터를 활용해서

촬영한다고 할수있지만, CT와는 확연히 다른 컴퓨터를 활용한 촬영기법이기 때문에 두 촬영은 어떻게 다른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일반적인 방사선 촬영법

2. 일반단층촬영법

 

 

1. 일반적인 방사선 촬영법

먼저 가장 병원에서 많이 사용되며 , 가장 먼저 방사선을 이용한 촬영으로 우리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고, 또한 사용이 간편한 촬영기법인 일반적인 방사선 촬영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 방사선 촬영법은 인체의 한쪽면에서 투과된 엑스레이를 필름면에 도달함으로써 영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는 피사체 내부의 3차원적 구조물들을 중첩하여 평면상에 표현함으로써 전후 개념이 없어지고, 해부학적인 세부구조의 위치 및 형태를 구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방향을 달리 한 여러 가지 촬영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정상조직과 병변 조직의 미세한 감 약 차이에 의한 문제는 아직도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습니다 

또한 두께가 일정하고 감 약계수가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피사체의 필름상의 대조도와 동일한 감약계수로 이루어지고, 두께를 달리한 피사체의필름상의 대조도가 가테 나타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일반 방사선 촬영의 한계는 조직의 방서선 흡수 계수와 조직의 밀도 및 원자번호에 의하여 평면상에 표현할  경우 기관들이 서로 겹쳐지게 되어 장기 고유의 대조도를 표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병변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입니다 

어떠한 장기에 있어 예를 들어 종양이 정상적인 조직과 농도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경우 병변을 찾기가 어려우므로 이를 위하여 여러 촬영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겹쳐서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종래의 방사선 촬영법의 문제점으로는 진행과정 이질적이며 양적인 것이 아닌 점이라고 할 수 있고, 다시 말하면 균일하지 않은 두께를 갖는 동질의 피사체와 다양한 구성을 가지는 균일한 피사체의 식별을 할 수 없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를 쉽게 정리하자면, 

일반적인 방서선 촬영법은 비슷한 조직의 농도와 원자번호를 갖고 있으며, 방서선 흡수 계수가 비슷한 장기의 구별이 어려우며, 또한 질병을 찾는데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 방서선 촬영법은

한 면에서 통과한 방사선이 인체를 통과한 후 그 방사선의 감 약계수의 차이를 토대로 영상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3차원적인 영상을 구현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중첩이 되는 부분의 병변은 쉽게 구별해낼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게 일반적인 방서선 촬영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서 만들어진것이 CT 라고 할수있습니다. 그러면 다음으로 컴퓨터 단층촬영 (C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일반 단층촬영법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일반적인 방사선 촬영법은 피사체의 투과한 방사 선양을 단면에 표현해 내는 것이기 때문에 중첩되는 부분의 병변의 구별이 어려울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을 극복해낼 수 있는 것이 단층촬영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층촬영법은 3차원적 인피 사체를 횡단면으로 영상화함으로써 일반 방사선 촬영법에서 해부학적 구조이 중복 투 영상으로 인한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일반 단층촬영법의 기본원리는 검사하고자 하는 해부학적 구조물의 위치를 지정한 후 엑스선관과 필름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등속도 운동시키면서 원하는 구조물을 선택적으로 명료하게 나오게 하는 기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선택 구조물의 위치를 축으로 하여 상 하의 해부학적 구조물은 의도적으로 흐려져 나타나게 하는 기법입니다.

단층촬영법의 여러 문제점들은 영상의 흐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으며 산란선의 영향으로 대조도가 떨어지고, 또한 엑스선 필름과 증 감지 및 격자와의 결합에 따른 문제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또한 위의 단층 촬영법은 인체의 방사선 감쇠 계수가 유사한 연부조직에서 식별능의 저하로 인하여 진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단층촬영의 적응증은 대부분이 컴퓨터단층촬영에 의해 대치되었으며, 컴퓨터단층촬영은 뼈의 구조뿐만 아니라 연부조직의 대조도 분해능이 우수한 영상을 제공할수 있기에 일반 단층촬영의 단점을 극복하게 되었다고 할수있습니다 

 

 

마무리

오늘은 일반 촬영과 컴퓨터 단층촬영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오늘 하루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유용한 정보 > 의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심증에 대해서  (0) 2021.11.26
자궁근종에 대해서  (0) 2021.11.23
순환기계에 대해서  (0) 2021.11.18
근육계에 대해서  (0) 2021.11.17
세포의 구성에 대해서  (0) 2021.11.17

+ Recent posts